(재)김해문화관광 웹진

search
투명한 실천, 김해의 자원순환 이야기
투명 페트병 회수
사진.백동민
매일 손에 쥐는 생수병과 음료병,
그 안에 담긴 물보다 더 오래 남는 것은 병 그 자체입니다.
무심코 플라스틱류에 함께 버려지는 투명 페트병은 섞이고 오염되며
재활용의 길을 잃습니다.
이 문제를 바꾸기 위해 기술과 시민의 참여로 함께 만들어가는
김해의 친환경 실천을 소개합니다.

AI 투명 페트병 회수기로
만들어가는 친환경 김해

현재 김해 곳곳에는 총 30대의 AI 기반 투명 페트병 회수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. 이 회수기는 인공지능·IoT 기반으로 작동해 투입된 페트병의 재질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압축합니다. 이 과정을 통해 수거 효율을 높이고, 운송비를 줄이며, 더 많은 병이 재활용 자원으로 돌아가게 됩니다. 행정복지센터, 공원, 체육시설 등 시민 생활권 가까이에 마련돼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. 한 병당 10포인트가 쌓이며, 2024년 기준 3년간 김해시는 총 81톤의 페트병을 수거하고 시민에게 3000만 원이 넘는 포인트를 환급했습니다.

투명 페트병 회수기 사용 방법

• QR코드로 회원 가입 및 로그인
회수기 화면에 표시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하여 회원 가입 후 이용 가능합니다.

• 비우고, 제거한 투명 페트병 투입
내용물을 비우고, 라벨과 뚜껑을 제거한 뒤 투명한 병만 넣어야 합니다. 유색 페트병, 아이스컵 등은 인식되지 않습니다.

• 하루 최대 100개까지 투입 가능
병을 넣고 ‘투입 완료’ 버튼을 누르면 포인트가 자동 적립됩니다.

• 포인트 확인 및 출금
2000포인트(약 200병) 이상이 쌓이면 현금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투명한 병이 만드는 순환의 도시

AI 회수기를 통해 수거된 투명 페트병은 섬유·가방·신발의 고급 원료로 재활용됩니다. 투명 병은 장섬유로, 유색 병은 단섬유(노끈)로 재활용되어 품질과 용도가 달라지기 때문에, 이 차이를 정확히 인지하고 올바로 분리배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우리가 버리는 방식 하나가, 도시의 환경 정책을 완성해 갑니다. 한 병을 버리더라도 조금 더 바르게, 그 행동이 쌓여 김해는 ‘순환의 도시’로 나아가고 있습니다.

※ 주요 설치 장소

읍면동 설치 위치

  • 진영읍 진영역사공원, 진영빛의거리, 진영한빛도서관, 진영스포츠센터
  • 주촌면 주촌면행정복지센터
  • 진례면 진례면행정복지센터, 진례초전문화센터
  • 한림면 한림체육관
  • 대동면 대동면행정복지센터
  • 동상동 동상동행정복지센터, 청년다옴
  • 회현동 회현동행정복지센터
  • 부원동 김해시청 본관
  • 내외동 연지공원(2대), 거북공원, 공주공원
  • 북부동 화정글샘도서관
  • 칠산서부동 칠산서부동행정복지센터
  • 활천동 활천동행정복지센터, 유토피아상가 앞 분수공원
  • 삼안동 동부스포츠센터, 신어천 하늘쉼터
  • 불암동 불암동행정복지센터
  • 장유1동 김해탄소중립체험관, 알로기공원
  • 장유2동 기후변화테마공원, 장유스포츠센터
  • 장유3동 율하유적전시관, 꿈터플러스마당
작성일. 2025. 10. 30